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건국대vs홍익대(분석/설명/요약)

by creator1903 2025. 5. 4.
반응형

 

안녕하세요
하노이 고3 딸 아빠입니다.

건국대와 홍익대가 모두 합격했다는 가정하에, 
선택을 해야할텐데요.
2023년 2024년 통계가 나온 데이터를 중심으로 비교를 해서 도표로 정리해봤습니다.
이공계열중심이며, 웹검색을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저는 어떤 특정학교와 전혀관계가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제가 이글을 쓴 포인트는 어느학교가 좋다 나쁘다 이런개념이 아닙니다.
이런 항목들을 비교할수있고, 이렇게도 생각할수있구나하는
사항들을 함께 생각해보자는 취지입니다.

모든 고3 수험생들이 폭넓은 사고로 세상을 널게 이해하길 바라는 아빠의 마음으로...

 

 

대학생

 

항목 건국대학교 (서울캠) 홍익대학교 (서울캠) 분석 및 특이사항
학생 1인당 교수 수 약 24.2명당 1명 약 27.8명당 1명 건국대가 소폭 우세. 교수 대비 학생 수 적음.
전체 학생수당 교직원 수 약 50명당 1명 약 61명당 1명 건국대가 행정 서비스 밀도 높음.
교수 1인당 연구비 약 1억 7,000만 원 약 1억 4,000만 원 건국대 연구중심 대학 체제. 수의대, 바이오계열 강세 영향.
연간 등록금 (평균) 약 790만 원 약 770만 원 큰 차이 없음. 실기/실험 학과에 따라 상이.
이공계 대기업/공기업 취업률 약 35% 이상 약 29% 수준 건국대 이공계 특성화 전공의 취업률 높음.
월평균 생활비 약 80만~100만 원 약 90만~110만 원 홍대 앞 지역 특성상 생활비 높음.
주요 편의시설 스타시티, 롯데백화점, 커먼그라운드, 캠퍼스 호수 홍대거리, 예술시장, 문화공연장, 클럽거리 건대는 쾌적함, 홍대는 문화 중심.
캠퍼스 크기 및 환경 넓고 자연 친화적 (호수 및 공원 포함) 도심형, 협소하지만 트렌디함 환경 면에선 건국대 우위.
학교 재정상태 연간 예산 약 5,800억 원 / 자산 규모 우수 연간 예산 약 4,500억 원 / 자산 안정적 건국대가 투자 여력, 발전기금 더 풍부.
최대 강점 수의학, 바이오, 부동산, 건축, 캠퍼스 환경 디자인, 미술, 문화콘텐츠, 인문학 특성화 분야별 강점 상이. 진로에 따라 선택 달라져야.
단점 일부 인문계열의 인지도 제한 캠퍼스 공간 부족, 실기 위주 학과 중심 구조 전공 확장성과 지원 여건 면에서 차이.

 

분석

📌 교수/교직원 대비 학생 수

건국대학교는 상대적으로 교수 수와 교직원 수가 더 많아 수업 밀도와 행정지원 면에서 유리한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특히 수의대, 생명과학대학 등 연구 중심 학과에서는 학생 1인당 연구 환경도 더 체계적이라는 평가입니다. 반면 홍익대는 예체능 중심 학과가 많다 보니 강의 비중보다는 실기 비중이 높아, 교수 수 대비 강의 수요가 상대적으로 적은 편입니다.

📌 연구비 비교

교수 연구비는 건국대학교가 약 20% 가량 높습니다. 이는 건국대가 의생명과학, 바이오산업, 수의학 등 고연구비 분야를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홍익대는 인문·예체능 중심 학과가 많아 평균 연구비 규모가 작습니다.

📌 등록금 및 생활비

등록금 자체는 양 교 모두 평균 770~790만 원 수준으로 비슷하나, 홍익대는 실기비 포함 시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생활비는 홍익대가 위치한 마포구가 외식비, 주거비 등에서 더 비싸므로 실제 체감 비용은 더 높게 나타납니다.

📌 취업률 및 산업 연계성

이공계 기준, 건국대는 수의학과, 컴퓨터공학, 바이오시스템, 부동산학과 등에서 대기업/공기업 취업률이 높습니다. 홍익대는 디자인, 미술 계열에서 창업, 프리랜서 진출이 많아 공기업 수치는 낮은 편입니다.

📌 편의시설 및 캠퍼스 환경

건국대는 스타시티몰, 대형 백화점, 커먼그라운드 등 쾌적한 생활환경이 강점입니다. 캠퍼스 내 호수와 녹지도 인상적입니다. 홍익대는 홍대 앞 거리와 예술시장 등 문화적인 요소가 많아 활동성은 우수하지만 공간적으로는 부족합니다.

📌 학교 재정 상태

건국대학교는 대형 산학협력단과 KU메디컬센터 등을 통해 외부 수입이 풍부하며, 발전기금 조성도 활발합니다. 홍익대도 자산은 안정적이지만 예술 특성화 중심 대학으로서 인프라 확장 여력은 상대적으로 제한적입니다.

 

 

 

항목 건국대학교 (서울캠) 홍익대학교 (서울캠) 분석 및 특이사항
전체 재학생 수 약 16,200명 약 14,800명 건국대가 더 큰 규모.
이공계열 재학생 수 약 6,300명 약 4,700명 공대, 바이오대학 등 보유로 건국대 우위.
이공계 대표학과별 재학생 수 전자공학과 약 500명, 컴퓨터공학과 약 480명, 바이오융합 약 600명 전자전기공학과 약 420명, 기계정보공학과 약 400명 건국대는 수의학, 바이오계열 인원 비중 큼.
1인당 기숙사 수용률 약 18% 약 9% 건국대가 기숙사 규모와 수용률에서 압도적.
기숙사 비용 (월 기준) 약 25만 ~ 40만 원 약 32만 ~ 45만 원 홍익대가 소폭 높음. 건대는 단지 구성 다양.

 

 

설명

전체 학생 수 및 이공계 재학생 비중

건국대학교 서울캠퍼스는 의생명과학대, 공과대학, 수의대 등 이공계열이 강세인 만큼 재학생 수의 약 38%가 이공계열입니다. 홍익대학교도 공과대학을 보유하고 있으나 예체능계 학생 비중이 높아 이공계 재학생 수는 전체의 약 32%에 머뭅니다.

학과별 인원 비교

건국대는 바이오공학, 수의학, 컴퓨터공학 등에서 높은 학생 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수의대와 부동산학과 등은 전국 단위 모집이 이뤄지고 있어 평균 인원도 많습니다. 홍익대는 전통적인 전자전기·기계 계열이 중심이나, 인원은 건대에 비해 소폭 적습니다.

기숙사 수용률 및 비용

서울 소재 대학 중 기숙사 수용률은 낮은 편이지만, 건국대는 ‘웅비관’, ‘새천년관’ 등 총 4개 동을 운영하며 수용률이 서울 캠퍼스 기준 약 18% 수준입니다. 홍익대는 캠퍼스가 협소하여 기숙사 수용률이 약 9%로 낮으며, 외부 민자 기숙사 이용 비중이 높습니다.

 

대학생들

항목 건국대학교 (서울캠) 홍익대학교 (서울캠) 분석 및 특이사항
연간 졸업생 수 약 4,000명 약 3,500명 건국대가 전체 규모가 커 졸업생 수 다소 많음
입학 대비 졸업 비율 약 80% 이상 약 75% 수준 건국대가 학사관리 체계 더 안정적
공무원 취업률 약 4.5% 약 3.2% 이공계 및 행정학, 수의대 영향으로 건대 강세
대학 브랜드 및 홍보력 KU미디어, 유튜브, 스타홍보대사 체계화 디자인·미대 중심 창의 콘텐츠 홍보 강점 건국대는 전방위 홍보, 홍익대는 창의 브랜드로 강세
입학 선호도 수도권 기준 10~13위권 수도권 기준 9~12위권 문·이과별 차이 존재, 디자인은 홍익대 압도적

 

졸업생 수 및 졸업 비율

건국대학교는 졸업생 수 기준 연간 약 4,000명 수준이며, 입학자 대비 졸업까지 완료하는 비율(학위취득률)이 평균 80% 이상으로 비교적 높은 편입니다. 반면, 홍익대는 약 3,500명 졸업 규모이며 예체능 실기 중심의 학과 특성상 중도탈락률이 더 높은 경향이 있어 졸업률이 다소 낮은 편입니다.

공무원 취업

공무원 진출률에서 건국대학교는 행정학과, 수의대, 공과대학 졸업자 중심으로 일정한 비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평균 약 4.5%를 기록합니다. 홍익대학교는 예술계 비중이 높아 공직 진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홍보력 및 대학 브랜드 전망

건국대는 KU미디어센터,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온라인 기반 브랜딩이 활발하며, 학생 홍보대사, 학교 공식 캐릭터 등을 운영합니다. 홍익대는 예술·디자인 콘텐츠를 활용한 감각적인 브랜드 이미지 구축에 강하며, 디자인/패션 분야에서 매우 강한 브랜드력을 보입니다.

입학 선호도

수능 커뮤니티와 입시 통계 기준, 건국대학교와 홍익대학교는 수도권 대학 중 선호도 10위권 내외에서 엇갈립니다. 이과·실용계열에서는 건국대가, 인문·디자인계에서는 홍익대가 선호도를 주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항목 건국대학교 (서울캠) 홍익대학교 (서울캠) 분석 및 특이사항
삼성그룹 취업자 수 (2023) 약 180명 약 140명 건국대 이공계/경영계열 강세 반영
LG그룹 취업자 수 (2023) 약 95명 약 100명 홍익대 디자인·전자계열 진출 활발
SK그룹 취업자 수 (2023) 약 70명 약 60명 건국대 IT계열에서 꾸준한 진출
현대자동차그룹 취업자 수 (2023) 약 55명 약 40명 기계·자동차 관련 학과에서 건국대 우세
롯데그룹 취업자 수 (2023) 약 65명 약 55명 경영·식품·유통계열 중심 채용
5대기업 전체 취업률 비중 (졸업생 기준) 약 11.7% 약 10.2% 양 대학 모두 대기업 취업률 상위권 유지

 

요약

  • 건국대학교는 바이오, IT, 경영, 부동산학 등 실무 연계 전공의 산업 연계성이 높아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엔지니어링 등으로의 진출 비중이 큽니다.
  • 홍익대학교는 LG전자, LG디스플레이, 디자인 계열 기업에 강한 진출력을 보이며, 특히 산업디자인 및 영상콘텐츠 부문에서 독보적 취업 경쟁력을 갖고 있습니다.
  • 삼성전자 DS 부문, SK하이닉스, 현대모비스 등 이공계 중심 기업에서는 건국대 이공계열 출신의 취업자 수가 더 많은 경향이 있으며, 홍익대는 LG 계열, 롯데 디자인 마케팅 부문에서 활약이 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