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학과선택(대학별취업률,학과별취업률,복수전공,산학협력)

by creator1903 2025. 4. 17.

대학교이미지


안녕하세요
하노이 고3 딸 아빠입니다.
이번에는 각대학별 취업률, 복수전공, 산학협력/주요기업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입학도 안했는데 무슨, 취업율이냐 라고 하실수 있는데요.
아이들이 학과를 선택하는데 중요한 정보가 아닐까 싶어서,
좀 이른감이 있지만, 나름 정리 해보았습니다.
좋은 정보로 활용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당~
하노이 시간12시 는 점심시간인데, 한국은 이제 2시로 오후업무에 중이시겠네요.
한국 고3 아빠들 화이팅 입니다!! ^^

1. 대학별 취업률

대학명 이공계 평균 취업률(%) 비고
아주대학교 74.3% SW·AI 계열이 평균을 끌어올림
인하대학교 75.5% 항공·IT 분야 강세
상명대(서울) 75.1% AI, 데이터 전공 비중 확대
건국대(서울) 76.4% 융합공학계열 전반 고른 성과
홍익대(서울) 74.7% 공과대 평균은 70% 후반
광운대학교 78.2% 정보보안, AI 분야 우수

2. 학과별 취업률

대학명 학과명 취업률(%)
아주대 소프트웨어학과 82.5
기계공학과 71.4
산업공학과 75.6
전자공학과 73.9
인하대 항공우주공학과 81.2
컴퓨터공학과 80.1
조선해양공학과 67.5
산업경영공학과 76.7
상명대 컴퓨터과학과 76.4
데이터사이언스학과 77.0
건국대 컴퓨터공학과 81.5
스마트ICT융합공학과 78.6
화학공학부 70.9
홍익대 컴퓨터공학과 78.9
산업공학과 72.8
광운대 정보보안학과 83.1
인공지능학부 81.2
로봇학부 78.0

3. 복수전공·부전공 제도 비교

대학명 복수전공 부전공 특이사항
아주대 전 학과 간 허용 21학점 이상 복수전공 이수 시 학위 2개 수여
인하대 대부분 학과 허용 21학점 이상 자유·융합전공 가능
상명대 동일계 우선, 타계열도 가능 21학점 이상 융합전공학위 별도 운영
건국대 최대 2개 전공 신청 가능 21학점 이상 복수전공 성적 별도관리
홍익대 대부분 학과 허용 21학점 이상 이공계 + 미대 조합 가능 (실기 제외)
광운대 복수/연계/융합전공 가능 21학점 이상 AI+보안, 로봇+SW 융합과정 활발

#복수전공 장점

  • 다양한 진로 선택 가능 (이공+인문 융합 가능)
  • 공기업·대기업 채용 시 우대 요소
  • 일부 융합전공은 복수학위제 가능

#유의사항

  • 이수학점 130~150학점 이상으로 학업량 증가
  • 과목 시간표 겹침 가능성 고려 필요
  • 일부 학과(예: 실기 중심)는 복수전공 제한 있음

#활용 예시

전공 조합 활용 분야 예시 진로
컴퓨터공학 + 경영 IT기획, 제품매니저 쿠팡, 카카오, 네이버
AI + 심리학 챗봇 개발, UX 연구 마인드로직, 리디북스
로봇공학 + 산업공학 스마트팩토리 설계 LG CNS, 현대모비스
정보보안 + 수학 암호연구, 보안분석 KISA, 안랩, 국정원

대학교이미지2


4. 산학협력이란?

산학협력이란 대학교와 기업이 협력하여 인재를 양성하고 기술을 개발하며, 실무 중심 교육을 통해 상호 발전을 도모하는 협력 체계입니다.

산학협력이 중요한 이유

  • 기업: 우수 인재 조기 확보, R&D 비용 절감, 기술 경쟁력 강화
  • 대학: 취업률 상승, 실무교육 강화, 연구 상용화 가능

대표 사례

  • 현대차 & 국내 대학: 친환경차 공동 연구
  • 삼성전자 SERP: 반도체, AI 실무 교육
  • 지방대+지역기업: 지역 인재 육성 및 고용 안정

산학협력 종류

  • 공동 연구 개발
  • 인턴십 및 현장 실습
  • 기술 이전 및 창업 지원
  • 교육과정 공동 개발

미래 방향

  • 디지털 전환 기반 협력 확대 (AI, 빅데이터 등)
  • 글로벌 산학협력 네트워크 구축
  • 지속 가능한 협력 모델 정착

#요약 정리

  • 📈 이공계 취업률: SW/AI계열 80%↑, 전통공학은 70%대
  • 🎯 복수전공 제도: 전 대학 공통 허용, 이공계+인문/디자인 조합 활발
  • 📘 제도 특이사항: 복수전공 시 학위 2개, 부전공은 학점만 인정
  • 💼 취업 연계: 대학별 산학협력 기업과 연계 교육 존재

 

#대학별 산학협력 주요 기업

대학명 산학협력 기업
아주대학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자동차, LG에너지솔루션, Naver, 한화시스템, LS일렉트릭,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인하대학교 대한항공, 현대중공업, 삼성SDS, 한화오션, LG CNS, CJ ENM, ETRI, 두산에너빌리티, 포스코인터내셔널
상명대학교(서울) 삼성전자, LG전자, 카카오엔터프라이즈, NHN, 다쏘시스템, 네이버클라우드, KETI, 메가존클라우드
건국대학교(서울) SK하이닉스, 삼성디스플레이, LIG넥스원, 에이프로젠, 네패스, 씨젠, 한미약품, CJ바이오사이언스
홍익대학교(서울) LG디스플레이, 현대자동차, 삼성전자, 카카오, 아모레퍼시픽, 코웨이, SK플래닛, 삼성SDS
광운대학교 삼성전자, SK C&C, LG CNS, 한화시스템, KT, NHN, 알서포트, 안랩, KISTI, Naver Cloud, 메가존

#특징 요약

  • 아주대·건국대: 이공계 중심 대기업 다수 연계
  • 인하대: 조선·항공 관련 특화 협력기업 보유
  • 광운대: IT 보안/클라우드 기업 다수 제휴
  • 상명대: AI·콘텐츠 산업 분야 제휴 활발